본문 바로가기
삶의 단상

'긱 이코노미'의 급부상과 음영.

by tristan 2023. 2. 23.
반응형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긱 이코노미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긱 이코노미

 

최근 ‘긱 이코노미’(Gig Economy)가 새로운 경제활동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다. 긱 이코노미란, 쉽게 말해 기업들이 필요에 따라 단기 계약직이나 임시직으로 인력을 충원하고 그 대가를 지불하는 형태의 경제를 의미하며 또한 오늘날 업무가 이루어지는 방식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추세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이다. 

 

사실 ‘긱’(Gig)이란 단어는 ‘일시적인 일’이라는 의미로 1920년대 미국 재즈클럽 주변에서 단기계약으로 연주자를 섭외해 공연한 데서 유래했으며 과거에는 각종 프리랜서와 1인 자영업자 등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지만, ‘온디맨드’(On-Demand) 경제가 확산되면서 최근에는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경제활동, 그리고 단기 계약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

 

※참고로 온디맨드(On-Demand) 경제란, 플랫폼과 기술력을 가진 회사가 수요자의 요구에 즉각 대응하여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더불어 Uber, Lyft, Airbnb, Etsy, redbubble, fiverr 등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개인적인 경제활동 또한 긱 이코노미에 속한다. 이는 9to5, 즉 아침에 출근해 9시에 업무를 시작해서 5시에 끝나는 전통적인 업무 방식이 아닌, 시간과 장소에서 제약 없이 자신이 원하는 방향대로 일하는 방식인 것이다. 

 

Uber, Lyft, Airbnb, Etsy, redbubble, fiverr
Gig Economy

 

과거 ‘디지털 노마드’(Digital nomad)와는 개념이 살짝 다르다. 디지털 노마드란, '디지털(digital)'과 '유목민(nomad)'을 합성한 말로 인터넷 접속을 전제로 한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여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재택/원격근무를 하면서 자유롭게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긱 이코노미는 몇 가지 요인으로 인해 최근 몇 년 동안 엄청난 성장을 보이고 있다. 주요 요인 중 하나는 개인이 전 세계 어디에서나 고객 또는 고용주와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의 발전이다. 인터넷의 발전과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디지털기기만 있으면 누구든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긱 이코노미의 부상에 기여하는 또 다른 요인은 변화하고 있는 업무방식 때문이다. 글로벌 경제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기업들은 점점 더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정규직 직원보다는 필요에 따라 고용할 수 있는 계약직 직원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을 업체가 선택하는 이유는 근로자에 대한 여러 가지 복지와 건강 또는 실업 보험 기금을 지불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 면에서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 형태와는 다른 대안적 형태의 일자리를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기 시작하면서 긱 이코노미도 동반 성장 하고 있다. 

 

Work-Life Balance
Work-Life Balance

 

특히 MZ 세대의 경우 개인 생활과 일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유연하고 독립적인 업무 방식, 즉 '워라밸'(Work-Life Balance)을 중요시 여기고 있다. 예를 들어 프리랜서가 취미와 관심사를 추구할 수 있는 유연성을 유지 하면서 자신이 좋아하는 프로젝트를 맡을 수 있듯이 말이다. 

 

이러한 긱 이코노미의 부상은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갖고 있는데 긍정적인 측면은 사람들이 일하고 돈을 벌 수 있는 수많은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사람들이 자신의 기술과 관심에 맞는 일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게 되었고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하지만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그 중 가장 큰 문제는 많은 긱 근로자가 노동법의 보호, 건강 및 실업보험, 유급 휴가 등의 혜택을 받지 못한다는 것이며  또한 단기간 또는 일회성 작업에 대해서만 급여를 받기 때문에 보장된 안정적인 수입원이 없다는 것이다. 

 

 

긱 이코노미의 또 다른 문제는 긱 근로자가 자신의 미래를 위해 저축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안정적인 수입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은퇴 자금이나 기타 장기적인 재정 목표를 위해 따로 돈을 마련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Gig Economy 2
긱 이코노미도 계획이 필요하다. 아무 생각없이 뛰어들었다가 일용직을 면치 못할 수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러한 부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긱 이코노미는 앞으로도 계속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는 앞으로 기술 발전은 계속될 것이고 잠재 고객 및 고용주와 더 쉽게 연결이 가능한 유연하고 독립적인 작업 방식을 찾는 사람들이 점점 더 많아짐에 따라 긱 이코노미는 업무의 미래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긱 이코노미의 부상은 지금 세계에서 변화하는 업무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고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많은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는 있지만 필자의 부정적인 견해로는 직업의 안정성을 훼손하고 많은 근로자들을 복지 사각지대로 몰아넣으며 미래를 위한 재정 계획을 세우는 것을 어렵게 만들지도 모른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긱 이코노미는 앞으로 계속 성장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것은 부정할 수 없는 또 하나의 새로운 큰 변화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파도에 누구보다 빨리 그리고 잘 적응해야할 것 같은데 앞서 언급한 긱 이코노미의 부정적인 측면을 완화 및 해소하는 방법을 찾는 긱 워커만이 이 변화의 파도타기에 성공하지 않을까? 

 

 

반응형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