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 유용한 정보

저소득 취약계층 66만 명에게 공공요금 지원!

by tristan 2023. 2. 13.
반응형

저소득 취약계층 66만 명에게 지원해주는 공공요금

 

저소득 취약계층 66만 명에게 지원해주는 공공요금 6가지

 

보건복지부에서 최근(2023년 2월) 밝힌 확정 자료를 보면 전기요금, 도시가스 요금, 지역난방 요금, TV 수신료, 이동통신, 시 내외 유선전화 요금 등 6가지 감면 혜택을 발표했다. 

 

➊ 도시가스 요금 감면 신청

 

대상자-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계층, 장애인(심한 장애에 한함)

 

신청방법- 해당지역 도시가스회사 콜 센터를 통해 대상자 확인 후 도시가스 요금 감면 신청 가능(또는 납부 고지서 콜 센터를 통한 신청) ※한국가스공사홈페이지의 도시가스 회사안내를 참고.

 

구비서류- 방문 신청 시, 신분증 및 최근 도시가스 요금 납부고지서(고객번호 확인용)

 

기타 신청방법- 해당지역 도시가스 회사 및 지사(지점), 주소지 관할 주민센타, 정부24복지로에서 신청가능.

 

한국 가스공사

 

정부24

 

복지로

 

➋ TV 수신료 감면 신청

 

대상자- TV 수상기를 소지하고 있는 기초생활수급자(생계/의료), 시각-청각 장애인에 한함. 

 

신청방법- 아파트 거주자의 경우 아파트 관리 사무소, 아파트 외 거주자의 경우 한국방송공사(KBS) 수신료 콜 센터(1588-1801), 한국전력 고객센터(유선: 국번 없이 123 / 휴대폰: 지역번호+123)를 통해 대상자 확인 후 TV 수신료 요금감면 신청 가능.

 

 

구비서류- 방문 신청 시, 신분증 및 TV 수신료 납부내역이 포함된 최근 전기요금 납부고지서(고객번호 확인용) 

 

기타 신청방법- 주소지 관할 한전지사 또는 KBS 사업지사, 주소지 관할 주민 센터, 복지로에서 신청 가능. 

 

수신료 감면

 

➌ 전기요금 감면 신청

 

대상자-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계층, 장애인(심한 장애에 한함) 

 

신청 방법- 한국전력 고객센터(국번 없이 123)를 통해 대상자 확인 후 전기요금 감면 신청 가능.

 

구비서류- 방문 신청 시 신분증 및 최근 전기요금 납부고지서(고객번호 확인용)

 

기타 신청 방법- 한전 사이버지점, 주소지 관할 한전지사,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복지로에서 신청 가능.

 

한전 사이버 지점

 

전기요금 감면

 

 

➍ 이동통신요금 감면 신청

 

대상자-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계층, 장애인, 기초연금 수급자

 

신청방법- 이동통신사 통신감면 안내센터(휴대폰: 국번 없이 1523), 고객센터(휴대폰: 국번 없이 114) 또는 가까운 이동통신사 대리점 방문 신청.

 

기타 신청방법-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복지로에서 신청 가능.

 

이동통신요금 감면 신청

 

*참고- 알뜰통신사 가입자의 경우 해당 통신사 홈페이지에서 복지할인 전용요금제 가입 가능, 본인명의가 아니 경우 감면을 받을 수 없다.(1인당 1회선 감면)

 

➎ 지역난방 요금 감면 신청

 

대상자-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계층, 장애인(심한 장애에 한함) 

 

신청방법- 지역난방공사 콜 센터(1688-2488) 및 지사를 통해 대상자 확인 후 지역난방 요금 감면 신청 가능.

 

구비서류- 방문 신청 시, 신붑증 및 최근 지역난방 납부고지서(열사용자번호 확인용)

 

기타 신청방법- 해당지역 한국지역난방공사 홈페이지,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복지로에서 신청 가능.

 

지역난방 요금 감면 신청

 

➏ 시 내외 유선 전화요금 감면 신청

 

대상자- 기초생활수급자(생계/의료), 장애인

 

신청방법- 고객센터(KT: 100번, SKB:106번, LGU+:101번)

 

기타 신청방법- 가까운 통신사 대리점 방문 신청. 

 

 

반응형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