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별 그래픽카드 선택
1. CPU의 내장그래픽만 있는 PC
CPU의 내장그래픽만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게임은 사실 많지 않다. 그래도 메모리를 16기가 이상으로 올려준다면 리그 오브 레전드 그리고 비교적 가벼운 캐주얼 게임인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정도의 저사양 게임을 어느 정도 즐길 수는 있다.
2. 엔트리 라인업 그래픽카드를 탑재한 PC
메이플스토리 등의 가벼운 온라인 게임이나 옵션타협을 통해 로스트아크 정도의 게임을 즐길 수는 있는 등급이다. 그런데 사실 이러한 PC를 게이밍 PC라고 하기에는 현재로서는 조금 무리가 있다.
3. 메인스트림 라인업 그래픽카드를 탑재한 PC
GTX 1660 Super 이상의 메인스트림 라인업 그래픽카드가 탑재된 PC 정도를 게이밍 PC라고 부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로스트아크, 오버워치 2 등 비교적 인기 있는 게임을 FHD 해상도에서 중간 옵션 정도로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간단한 작업이나 영상, 영화 감상용으로도 사용하면서 그 외 게임도 즐기기에 적절한 등급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고사양 게임을 즐기기에는 다소 부족하다.
4. 메인스트림 플러스 라인업 그래픽 카드를 탑재한 PC
메인스트림 플러스 라인업 그래픽 카드가 RTX 3060 정도의 사양이다 보니 검은사막과 같이 비교적 고사양 게임을 높은 옵션으로 즐길 수 있고 배틀그라운드 등의 FPS 장르 게임 또한 옵션을 조금 타협한다면 원활한 플레이가 가능하다.
참고로 100만원 초반의 예산으로 메인스트림 플러스 라인업 그래픽 카드가 설치된 게임용 pc를 조립할 수 있다.
5. 퍼포먼스 라인업 그래픽카드를 탑재한 PC
퍼포먼스 라인업 그래픽카드는 RTX 3060 Ti~ 3070 Ti 정도를 말하며 CPU 또한 최소 인텔 i5, AMD 라이젠 5가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정도면 QHD 해상도에서 큰 무리 없이 게임을 즐기실 수 있으며 메모리를 32기가 이상으로 올려준다면 작업용 PC(워크스테이션)로도 무난하다. 참고로 예산이 150만원 내외라면 퍼포먼스 라인업 그래픽카드가 탑재된 PC조립이 가능하다.
6. 하이엔드 라인업 그래픽카드를 설치한 PC
하이엔드 라인업 그래픽카드를 설치한 PC에서 옵션 타협을 조금만 하면 4K 해상도로 게임플레이가 가능해지는데 그 이유는 RTX 4070 Ti 그래픽카드가 설치되었기 때문이다.
참고로 RTX 4070 Ti, RX 7900 XT와 같은 그래픽카드를 선택할 경우 CPU 또한 최신 제품인 인텔 13세대 i7, 그리고 AMD 7000 시리즈 중에서라면 라이젠 7 이상의 CPU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다만 예산을 200만원 이상 충분히 생각해야한다.
7. 플래그십 라인업 그래픽카드를 설치한 PC
플래그십 라인업 그래픽카드 중 만약 RTX 4090을 사용한다면 4K 해상도에서 원활한 게임 플레이가 가능해진다. 특히 RTX 4090은 현존하는 그래픽카드 중 최강의 성능을 자랑하기 때문에 게임 플레이 시 옵션을 만지작거릴 필요가 거의 없어진다.
하지만 단점이 있다. 바로 가격이다. 아시다시피 플래그십 라인업 그래픽카드의 가격은 300~400만원을 가볍게 넘기기 때문이다.
'IT & Produ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폰 15 부터는 USB-C 타입 충전 포트 적용, 그러나.... (0) | 2023.02.22 |
---|---|
전자책보다 나은 ChatGPT가 알려주는 애드센스 블로그 운영 방법! (0) | 2023.02.21 |
각 라인업 별 가성비 그래픽카드와 가격 정리! (1) | 2023.02.07 |
오픈 AI, ChatGPT의 초간단 사용기와 미드저니의 멋진 작품들! (0) | 2023.02.01 |
윈도우 10과 윈도우 11의 차이점과 윈도우 선택 요령! (0) | 2023.02.01 |
댓글0